Github Actions
-
Monorepo에서 다른 패키지를 참조하여 빌드할 때 GitHub Actions 작성 방법Infra/Git 2025. 3. 30. 13:10
최근 포스팅에서 여러 project에서 사용할 모듈을 따로 package로 구성하여 개발하는 작업이 끝나 해당 모듈이 필요한 project에 적용하였습니다. Monorepo 구조를 가지는 repo의 project가 build 시 모듈도 같이 build가 되어야 하여 Github Actions에 해당 내용을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Github Actions 작성예시를 위해 이전에 작성했던 CI/CD 관련 포스팅에서 예제를 가져오겠습니다.name: on: push: branches: - jobs: run: runs-on: ubuntu-latest steps: - uses: actions/checkout@v3 - uses: actions/setup-node@v3 ..
-
GitHub Actions Auto taggingInfra/Git 2024. 11. 17. 14:40
서비스를 운영하며 배포 시 Release와 Tag를 직접 만들었습니다. 매번 Release와 Tag를 수동으로 생성하다 보니 불편함을 느끼게 되었고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 GitHub Actions를 활용해 보았습니다. GitHub Actions workflow 작성운영 중인 서비스의 구조는 monorepo 구조로 하나의 repository에서 3개의 서비스를 운영 중입니다. 해당 구조에 맞게 자동으로 Release와 Tag를 각각 생성을 해야 되므로 아래와 같은 조건이 필요했습니다.1. 각 서비스 배포 시 사용하기 위해 재사용이 가능2. commit message를 통해 versioning (but commit message에 version에 대한 내용이 없더라도 동작) 3. 배포 완료 시 Release..
-
AWS Serverless 인프라 및 GitHub Actions CI/CD 구축Infra/AWS 2024. 5. 11. 22:27
FE 개발 배포 시 따로 웹서버를 띄우지 않고 인프라에 대한 관리 리소스를 줄이기 위해 serverless 인프라 구축을 하여 사용 중입니다. 이번에 개발팀 내에 공유하는 자리와 가이드 역할을 맡게 되어 해당 내용을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인프라 구성도 기술 스텍사용하는 기술 스텍을 간단하게 알아보고 인프라 구축 내용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AWS S3Amazon S3는 데이터를 버킷 내의 객체로 저장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객체는 해당 파일을 설명하는 모든 메타데이터버킷은 객체에 대한 컨테이너(디렉토리)⇒ FE에서 build를 통해 만들어내는 산출물(bundle)을 올려두는 용도로 사용합니다.AWS CloudFrontAmazon CloudFront는 CDN 서비스콘텐츠 요청이 발생한 곳과 가까운 Ed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