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iPad mini landscape 인식 이슈Style/CSS 2025. 6. 27. 23:01
최근 Tablet과 Mobile에서 사용 중인 landscape를 인식하는 로직에 이슈가 발생하여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해당 부분 내용을 남겨두면 좋을 것 같아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해결 과정기존 landscape 로직은 아래와 같습니다. device detect 관련 로직은 제외했습니다. const width = window.outerWidth; const height = window.outerHeight; const isOverLandscapeRatio = width / height > 16 / 9; const isLandscapeOrientation = screen.orientation.type.includes('landscape'); const isLandscape = isOverLa..
-
React에서 form 관리하기 with react-hook-form, zodFrameworks, Platforms and Libraries/React 2025. 5. 31. 16:32
최근 운영 중인 서비스의 admin을 만들면서 form을 관리할 때 validation 체크를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react-hook-form과 zod를 사용하였습니다. 해당 내용을 정리하며 react에서 react-hook-form과 zod을 이용하여 form을 관리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react-hook-form, zod 조합react-hook-form?react-hook-form은 React에서 간결하고 성능 좋은 폼 관리를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로 최소한의 리렌더링과 쉬운 유효성 검증을 지원합니다. zod?zod는 TypeScript 기반의 스키마 선언 및 유효성 검사를 위한 라이브러리로 정적 타입과 런타임 검증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react-hook-form + ..
-
Monorepo에서 다른 패키지를 참조하여 빌드할 때 GitHub Actions 작성 방법Infra/Git 2025. 3. 30. 13:10
최근 포스팅에서 여러 project에서 사용할 모듈을 따로 package로 구성하여 개발하는 작업이 끝나 해당 모듈이 필요한 project에 적용하였습니다. Monorepo 구조를 가지는 repo의 project가 build 시 모듈도 같이 build가 되어야 하여 Github Actions에 해당 내용을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Github Actions 작성예시를 위해 이전에 작성했던 CI/CD 관련 포스팅에서 예제를 가져오겠습니다.name: on: push: branches: - jobs: run: runs-on: ubuntu-latest steps: - uses: actions/checkout@v3 - uses: actions/setup-node@v3 ..
-
Zustand 맛보기Frameworks, Platforms and Libraries/React 2025. 2. 28. 23:33
이번에 여러 project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모듈을 따로 package로 구성하면서 개발하게 되어 간단하게 사용할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찾다가 Zustand를 써보게 되었습니다. Zustand를 사용하면서 해당 내용을 정리해 보게 되었습니다. Zustand?Zustand는 React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중 하나이며 hooks 기반의 API를 제공하는 작고 빠르며 확장 가능한 상태 관리 솔루션입니다. 사용 방법먼저 Zustand를 설치합니다.npm install zustand# oryarn add zustand 기본 사용법Zustand를 사용하는 예시 코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예시 코드의 환경은 React, TypeScript 환경으로 가정하겠습니다.// src/store/count.tsimport ..
-
Monorepo vs MultirepoInfra/Architecture 2025. 1. 20. 22:12
현재 회사에서 운영중인 여러 서비스를 과거에 monorepo로 구성하며 겪은 과정과 내용을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서비스 운영시 repository 관리에 참고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Monorepo vs Multirepo개발 시 여러 모듈 또는 서비스를 하나의 repository에서 관리할 것인지 여러 repository에서 관리할 것인지에 따라 monorepo와 multirepo로 나누어집니다. MonorepoMonorepo 방식은 하나의 repository에서 두 개 이상의 모듈 또는 서비스를 개발 및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각각의 모듈과 서비스를 구성하는 package는 서로 의존성을 가지며 구성됩니다. 따라서 package들끼리 의존성을 가지지 않으면 monorepo라고 하긴 어렵습니다. Monore..
-
Git Repository copyInfra/Git 2024. 12. 8. 14:56
monorepo로 구성되어 있던 특정 package를 분리하기 위해 repositroy의 형상을 다른 repositroy로 이관하는 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기존 repositroy의 commit 이력과 브랜치들도 다 같이 옮겨가는 니즈가 있어 해당 작업 내용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Git clone mirror option기존 repositroy의 commit 이력과 브랜치들도 복사하기 위해 git clone mirror option을 사용합니다. Git clone mirror vs baregit clone에는 mirror와 bare option이 있습니다. mirror option은 기본적으로 bare option을 포함하고 있으며 bare option 과는 달리 기존 repositroy의 local ..
-
GitHub Actions Auto taggingInfra/Git 2024. 11. 17. 14:40
서비스를 운영하며 배포 시 Release와 Tag를 직접 만들었습니다. 매번 Release와 Tag를 수동으로 생성하다 보니 불편함을 느끼게 되었고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 GitHub Actions를 활용해 보았습니다. GitHub Actions workflow 작성운영 중인 서비스의 구조는 monorepo 구조로 하나의 repository에서 3개의 서비스를 운영 중입니다. 해당 구조에 맞게 자동으로 Release와 Tag를 각각 생성을 해야 되므로 아래와 같은 조건이 필요했습니다.1. 각 서비스 배포 시 사용하기 위해 재사용이 가능2. commit message를 통해 versioning (but commit message에 version에 대한 내용이 없더라도 동작) 3. 배포 완료 시 Release..
-
Goodbye RecoilFrameworks, Platforms and Libraries/React 2024. 10. 31. 14:00
Recoil 관련 포스팅을 남긴 이후 다른 업무로 인해 사이드로 진행하던 레거시 프로젝트의 Recoil 포팅 작업이 멈춘 상태였습니다. 다시 작업을 시작하려는데 더 이상 Recoil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관련 레퍼런스들을 읽고 해당 내용을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Recoil을 선택했던 이유기존 React를 사용한 프로젝트에서 상태 관리를 위해 Redux를 도입하여 사용 중이었습니다. 하지만 Redux를 사용하다 보니 계속 생산되는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 신규 입사자들의 러닝 커브 등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사실 이러한 이유보단 규모가 작은 project에서 Redux 사용을 위해 설정하는 상황에서 배보다 배꼽이 큰 느낌을 항상 받았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Recoil은 좋은 선택지가 되었습니다. Recoil을..